블로그 포스팅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썸네일
블로그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블로그에 충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포스팅이 쌓여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려면 글을 쓰는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글을 빨리 쓰는 것이 능사는 아니지만, 가급적이면 생산적으로 빨리 쓰는 것이 블로그 포스트를 축적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외국 사이트에 블로그 글을 더 빨리 작성하는 방법으로 소개되어 있는 몇 가지 조언 중에서, 개인적으로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을 정리해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1. 자료조사와 글 쓰는 시간을 구분할 것


자료를 조사하는 시간과 글을 쓰는 시간을 엄격하게 분리하는 것입니다. 글을 쓰면서 자료를 조사하고 다시 글을 쓰고 하다 보면, 멀티태스킹이 될 수밖에 없지요. 그렇게 하면 작업을 전환하는데 인지적인 노력이 소모되면서 작업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따로따로 했다면 각각 30분 만에 끝낼 수 있었던 일을, 동시에 병행하려고 하면 1시간 반 2시간까지 늘어지게 되는 것이지요그러므로 많은 전문가들은 글 쓰는 작업할 때는 글만 쓰고 자료를 조사할 때는 자료만 조사하도록 집중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2. 쓰면서 수정하지 말고, 일단 한 번에 끝까지 쭉 쓸 것.


여러 글쓰기 선생님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조언입니다. 글을 쓰면서 수정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초안을 쭉 한 번에 끝까지 써내려가고 나서 나중에 수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수정과 작성을 반복하는 것 역시 작업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신적인 에너지를 소모하고 되면서 집중도 떨어지게 되지요


그리고 처음 쓰는 글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수정을 해도 자기 마음에 들기 어렵습니다. 쓰면서 수정 하다 보면 한도 끝도 없게 되지요. 그래서 글을 쓸 때는 초안을 작성할 때는 초안만 작성하고, 수정은 나중에 한 번에 몰아서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3. 글 쓰기 전에 간단한 개요를 미리 적어 보자.


글 쓰기 전에 간단한 개요를 미리 적어 보는 게 많으나 도움이 됩니다. 마인드맵으로 작성해도 괜찮고, 개조식으로 작성 해도 됩니다. 적절한 개요와 글의 구조를 생각해 두면, 나중에는 항목별로 문장을 적으면 되지요. 더 짜임새 있는 글을 빨리 쓸 수가 있게 되는 것이죠. 학교에서도 보고서나 리포트, 또는 논문을 작성하기 전에 미리 구조를 목록으로 정리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것은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고 나서 나중에 정리 하기 위해서 이리저리 구조를 고치는 것보다 더 생산적인 방법이지요.


4. 완벽하게 쓰려고 하지 말 것.


이 역시도, 국내에 소개된 많은 글쓰기 책에서 공통적으로 조언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완벽하게 쓰려고 하면,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면서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 블로그 포스팅은 누구에게 평가받거나 심사받는 글이 아니지요. 기본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본질적인 목적에 충실하다면 문학적으로 완벽하게 아름다운 글을 쓰려고 노력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은 목적을 달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것에 에너지를 쓰는 것이겠지요.


5. 타이머나 스톱워치를 활용해서 시간을 제한하기.


집중적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 타이머나 스톱워치를 설정하고서 글을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마감 효과를 노리는 것이죠.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생각을 하면, 심리적으로 자극을 받아서 더 짧은 시간 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사실 책상 앞에 앉아서 글을 써 내려가다 보면, 정말 글을 쓴 시간은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 전체에 비해서 그렇게 많지가 않습니다. 글 쓰다가 자료도 찾고, 확인할 것 등을 확인하고, 또 수정하다 보면, 실제로 글 쓰는데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많지 않지요.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것은 사람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요. 그러므로 타이머나 스톱워치를 사용 해서 마감 시간을 정해 두고 그 시간동안에는 다른 것에 정신을 빼앗기지 않고 글 쓰는데만 집중하도록 스스로에게 마감 효과를 설정해두는 것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getContent} $results={5} $label={recent} $type={block}